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사업

스미싱 문자사기 신고 및 대처방법

by 호외 2023. 8. 13.
반응형

안녕하세요 오늘은 스미싱(문자사기) 대처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 택배관련 메시지로 호기심을 자극하여 알 수 없는 출처를 클릭하게 만들거나 공공기관 사칭, 그리고 가장 악랄한 소상공인분들의 지원금, 정책자금, 대출지원 등을 사칭하는 스미싱 범죄 등 여전히 스미싱, 보이스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점점 더 지능화되고 있습니다. 혹시라도 이런 범죄에 피해를 당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당황하지 마시고 침착하게 대응 및 신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.

1. 모르는 번호로 피싱, 스미싱이 의심되는 전화 또는 문자를 받은 경우

▶'더 콜' → 의심번호 입력하여 확인

2. 스미싱으로 인해 개인정보가 노출된 경우

▶'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' 홈페이지 접속 개인정보 노출 등록 및 해제신청

3. 개인정보 악용 체크 및 대처

▶ 명의도용방지서비스 '엠세이퍼' 접속 가입제한서비스 클릭 (온라인 신규가입 사전차단)

▶ 현재 이용중인 통신사 또는 신규 개설된 모바일 소액결제 확인 차단요청 및 거래 취소 / 환불 요청

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1670 - 1382

4. 도용된 정보로 신규 계좌 개설, 대출 여부 조회

▶ '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' 접속 → 계좌통합조회 및 대출정보 조회 클릭 카드정보 조회 클릭

5.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

▶ '털린 내 정보 찾기' 접속 유출여부 조회 클릭

6. 회원가입 조회 및 탈퇴 서비스

▶ '개인정보포털' 접속 → 본인확인 내역조회 웹사이트 회원탈퇴 클릭

7. 주민등록 번호 변경하기

▶ 가까운 주민센터 방문 후 접수 → 처리 기한 90일

▶ '주민등록번호 변경위원회' 접속 → 절차 확인 후 신청서, 입증자료 등 서류 구비하여 주민센터 방문하시면 보다 빠르게 처리 가능함

 

8. 스미싱 예방수칙 6가지

728x90
반응형